식물의 특성에 따른 분류
식물이란 세포벽이 있고 엽록소가 있어 독립영양으로 광합성을 하는 생물을 말합니다.
또한 이동운동을 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나 예외로 유글레나와 같은 단세포성 조류는 세포벽이 없고, 버섯과 같은 균류는 종속영양생활을 합니다.
1) 영양획득방법
(1) 독립영양 - 조류, 육상식물 - 김, 장미, 백합, 민들레, 국화
(2) 종속영양 - 균류 - 빵곰팡이, 물곰팡이, 푸른곰팡이, 효모, 버섯
2) 기관의 분화
(1) 엽상식물(잎, 뿌리, 줄기구분이 불명확) - 조류, 균류 및 선태식물 - 김, 다시마, 우뭇가사리, 미역, 이끼류
(2) 경엽식물(잎, 줄기, 뿌리분화) - 장미, 백합, 민들레, 국화
3) 동화색소의 종류
(1) 엽록소 a, b함유 - 녹조, 차축조, 선태, 양치, 종자식물 - 이끼류, 고사리, 국화
(2) 엽록소 a, c함유 - 규조, 갈조식물 - 실패돌말, 깃돌말, 미역, 다시마
(3) 엽록소 a, d함유 - 홍조식물 - 김, 우뭇가사리
4) 꽃의 유무
(1) 현화식물 - 꽃이 있음 - 종자식물류 - 장미, 국화, 은행나무
(2) 포자식물 - 꽃이 없음 - 양치류~조류 - 고사리, 이끼, 미역
5) 관다발의 유무
(1) 관다발있음 - 양치류~종자식물 - 고사리, 은행, 장미
(2) 관다발없음 - 조류~선태식물 - 김, 다시마, 이끼류
6) 밑씨의 노출(씨방의 유무)
(1) 겉씨식물 - 밑씨가 노출되었고 중복수정이 없다. 헛물관을 가지며 형성층이 발달되어있다. 자웅이체이다. - 소철, 은행나무
(2) 속씨식물 - 밑씨가 씨방에 있으며 양성화로 자웅동체이다. 중복수정한다.
7) 떡잎의 수(속씨식물중에서 분류)
(1) 외떡잎식물 - 떡잎이 하나 - 벼, 보리, 옥수수
(2) 쌍떡잎식물 - 떡잎이 둘 - 무, 민들레, 국화, 벚나무
8) 위치에 따라
① 지상식물 : 지표에서 30cm이상(일반교목)
② 지표식물 : 지표에서 30cm이내(토끼풀, 국화, 사철쑥)
③ 반지중식물 : 땅표면(민들레, 질경이, 달맞이꽃)
④ 지중식물 : 땅속(산나리, 툴립, 백합-구근식물)
⑤ 수생식물(마름, 검정말)
좀더 구체적으로 나누면 꽃식물과 민꽃식물로 나누기로 합니다.
밑씨가 노출되어 직접 수분(受粉)하여 종자를 만드는 식물군.
목본성(나무) 이고 대개 상록수(늘 푸른 나무)임.
모두 수꽃과 암꽃이 따로 피고 풍매화이며, 관다발에는 물관 대신 헛물관(진정한 물관이 아닌 가도관으로 세포벽사이가 서로 뚫려 있음)이 있다.
데본기 후기에 출현하여 페름기에서 백악기(공룡이 멸종한 시기)까지 번성하였으나 점차 쇠퇴하여 지금 약 700여종이 분포합니다.
종류로는 소나무· 은행나무· 소철· 주목· 마황류 등이 있다.
-구과식물목 -가문비나무, 개비자나무, 개잎갈나무, 검은구상, 곰반송, 곱향나무
-소철목-닐소니아, 리기노프테리스, 미크로시카스, 마크로자미아, 소철
-주목목-눈개비자나무, 병영면의 비자나무, 비자나무, 주목
-기타겉씨식물-그네툼, 네타과, 마황, 베네티테스류,웰위치아
-은행나무목
2. 속씨식물
씨방이 있고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는 식물이며 속씨식물은 육상의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식물 무리이다.
속씨식물은 다시 쌍떡잎식물 과 외떡잎식물로 나누어진다
(1) 쌍떡잎 식물 : 떡잎 2장, 잎맥 그물맥, 관다발의 배열이 규칙적, 뿌리 곧은 뿌리, 꽃잎의 수가 4~5배수
-가래나무목 -가래나무, 굴피나무, 소귀나무, 긴가래나무
-감나무목-감나무, 검노린재, 검은재나무, 고용나무
-기타쌍떡잎식물-가새덜꿩나무, 가시나무, 가지꼭두서니, 갈매나무과
(2) 외떡잎식물 : 떡잎 1장, 잎맥 나란히맥, 관다발의 배열이 불규칙적, 뿌리 수염 뿌리, 꽃잎의 수가 없거나 3배수, 종류-옥수수, 보리, 벼 등
-골풀목-날개골풀, 물골풀, 백두살골풀, 별꿩의밥, 비녀골풀,
-백합목-가스테리아, 각시둥굴레, 각시마, 각시원추리, 갈란투스
-부들목-부들, 부들과, 애기부들, 흑삼릉
**차이점
겉씨식물은 꽃에 화피가 없고, 밑씨가 노출되며 수정 전에 배젖[胚乳]이 형성되고 중복수정을 하지 않는다.
떡잎은 몇 개에서 다수가 있고 물관부에는 헛물관[假導管]이 있다.
속씨식물은 꽃에 화피가 있고(드물게 없는 것도 있다), 밑씨는 씨방 속에 있어서 중복수정을 하며, 배젖은 그 후에 형성된다.
떡잎은 1개 또는 2개이며, 물관부에 물관[導管]이 있다(드물게 물관이 없고 헛물관이 있는 것이 있다).
① 속씨식물의 수정 : 중복 수정
㉠ 수분 :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현상
㉡ 화분의 발아 : 암술머리에 붙은 화분들은 관을 내어 밑씨 쪽으로 자란다.
이 때 화분 속의 핵은 분열하여 생식핵과 화분관핵으로 되고 , 생식핵은
다시 분열하여 2개의 정핵(n)으로 된다.
㉢ 중복 수정
정핵(n)+난세포(n) → 배(씨눈: 2n)
정핵(n)+극핵(n, n) → 배젖(3n)
② 겉씨식물의 수정
정핵(n)+난세포(n) → 배(씨눈: 2n)
배낭 세포 → 배젖(n: 1차 배젖)
○ 민꽃식물(포자식물) : 꽃을 형성하지 않고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
1) 조균식물 : 격벽이 없는 균사, 엽록소가 없다. 기생, 부생생활, 무성과 유성생식 - 빵곰팡이, 물곰팡이
2) 진균식물 : 격벽이 있는 균사
① 자낭균류 : 분생포자(무성), 자낭포자(접합에 의한 유성) - 푸른곰팡이, 효모
② 담자균류 : 자실체형성, 자실체끝의 담자병에서 4개의 담자포자형성 - 버섯
4) 규조식물 : 엽록소 a, c 및 규조소(황갈색)보유 분열(무성), 증대포자(유성), 세포벽에 규산질 - 실패돌말, 깃돌말
5) 갈조식물 : 엽록소 a, c 및 갈조소보유, 다세포, 엽상체, 세포벽에 요오드, 무성과 유성생식을 교대로-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
6) 녹조식물 : 엽록소 a, b함유 녹말생성, 세포벽에 셀롤로오스함유(고등식물과 유연관계), 분열, 포자형성(무성), 접합, 수정(유성생식)-클로렐라(무성), 해캄(접합), 청각(수정)
7) 차축조식물 : 엽록소 a, b함유, 수레바퀴모양(윤조식물), 감수분열 - 쇠뜨기말
8) 선태식물 : 이끼류, 수중생활에서 육상생활한 최초의 식물, 배우체(2n), 포자체(n)
① 태류 : 엽상체(잎, 줄기, 뿌리구분없음)
② 선류 : 반경엽체(구분가능), 관다발은 없다
'기타 활동 > 식물에 관한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글] 시몬... 너는 아느냐~ 낙엽 떨어지는 순서를... (0) | 2012.10.26 |
---|---|
씨앗은 위대하다 (0) | 2012.10.05 |
종의 개념과 식물 분류 (0) | 2012.05.06 |
[펌글] 쥐 잡아먹는 육식식물... (0) | 2012.04.05 |
[스크랩] 「야생동·식물보호법」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2012.1.30.-2.20.) (0) | 201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