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개념과 식물 분류
1. 종의 개념
- 자연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진 단위로 존재할 수 있는 생물의 기본 단위
- 분류학(계통학)의 기본이 되는 대상
- 유형학적 종의 개념(typological species concept)과 생물학적 종의 개념(biological species concept)
1.1 유형학적 종의 개념(typological species concept)
- 종의 근본 속성을 그 종의 유형(type)으로 규정지음
- 분류군의 기본적인 근본이 되는 속성 또는 특징을 그 분류군을 대표하는 유형으로 규정지음→symbolism표상,상징
- Such as form : 형상 그 자체
예) 지렁이가 기어가는 모습, 사람이 걷는 모습, 형태(morphology)보다는 확장된 개념
- 특징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실용적 개념(practical concept)이나 주관성(subjectivity)의 개입 여지가 많다.
1)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정립된 개념
- 생명체는 물질과 정수(essence, eidos)의 결합으로 보았고 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정수가 달라서 속성이 다르다고 봄
- 생물의 형상(형태)은 정수가 밖으로 표출된 것으로 같은 종은 같은 정수를 가지며 같은 형상을 지님
→ 같은 종은 같은 형상(정수)를 지닌 생물 군이다.
- 변이(variation)는 eidos(정수)의 불완전한 표출로 보았으며 생물의 변이가 있음을 인정했지만 변이의 속성 또는 중요성은 이해하지 못함
2) 중세 시대
- 창조론이 지배하던 시기로 모든 생물은 불변하며 한 종은 단 한 가지 형태만을 지닌다
→ 단형적 종의 개념(monotypic species concept)
- 변이란 환상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하여 아무런 의미를 두지 않음
3) 다윈 이후
- 생물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하는 동적인 시스템이다
- 변이는 진화의 원재료(raw material)이다 → 진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생물의 변이가 필수적임
- 같은 종이라도 지리적(공간적)으로 다양한 변이 집단이 존재함
- 다형적 종의 개념(polytypic species concept) : 현재의 유형학적 종의 개념이며 형태적 종의 개념도 유형학적 종의 개념의 일종으로 종이란 형태적으로 불연속을 이루는 집단을 뜻함(다른 종과는 유형이 다른 집단을 뜻함)
1.2 생물학적 종의 개념
1) 정의 : 오로지 분류군의 생식 양상(reproductive mode)에 근거하여 종을 규정함
생물학적 종이란 실제 혹은 잠재적으로 서로 상호교배가 가능한 집단이며, 다른 종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1) 상호교배(interbreeding) : 자연 상태 하에서 교배를 통한 정상적인 자손이 계속 생성되며 종의 동질성이 유지되어야 함
(2) 생식적 격리(reproductive isolation) : 자연 상태 하에서의 교잡 불가능한 상태(gene flow의 차단), - 상호교배의 반대 개념
(3) 유전적 화합성(genetically compatible) : 유전적으로 분화되지 않아 교배가 일어나면 정상적인 자손이 생성됨(유전적으로 격리가 일어나지 않음)
(4) 유전적 불화합성(genetically incompatible) : 유전적 분화(차이)로 인하여 서로 교배가 불가능함(유전적 격리)
1.3 결론
종은 자연에 실존하는 단위로서 생물 및 생명현상의 다양함을 고려할 때 생물계 전체를 아우르는 단일 개념의 성립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생물군별로 차별화된 종의 개념 확립이 필요하다.
1.4 종내 분류군의 개념
- 한 종에 포함되지만 종 내에서 분화되는 정도에 따라 여러 계급(rank)을 부여
- 분화의 정도가 큰 순서대로 아종(subspecies), 변종(variety), 아변종(subvariety), 아품종(subform)의 5계급을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IBCN)에서 설정
- Subspecies(subsp. 또는 ssp.) or Variety(var.) : 종내에서의 형태적인 변이체로서 아종 또는 변종은 지리적 분포나 생태적 요구량의 차이에 근거하는 자체적으로 고유한 변이를 지님
- Form(for. 또는 f.)
한 두 형질에 대하여 단발적 또는 우발적으로 나타나는 변이(털, 꽃의 색 등)
인위적으로 개량된 집단이며 몇 가지 실험적인 형질을 가짐.
원예학적인 가치는 있으나 분류학적 계급으로는 의미 없음
- 현대 분류학에서는 종내 분류군으로 아종 또는 변종의 한 계급만 설정하는 추세. 학자에 따라 아종 또는 변종 계계급을 선호
2. 식물의 분류
- 식물 : 광합성을 하는 다세포성 생물
- 식물은 일차적으로 관속식물과 비관속식물로 나누어지고, 관속식물은 다시 종자식물과 비종자식물(또는 관속포자식물)로 나누어짐
* 관속포자식물 : 양치식물로 불리는 종자를 맺지 않고 포자로 번식하는 관속식물
* 비관속식물 : 주로 육상에서 사는 선태류(이끼류)와 물에 사는 조류로 구분됨
- 종자식물은 다시 나자식물과 피자식물로 구분됨
- 식물분류학의 대상은 관속식물로 국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선태류는 선태식물학(bryology)에서 조류의 경우는 조류학(phycology)에서 분류를 다루고 있음
자료출처 : 전북대 선병윤 교수님의 식물분류학회 공개강좌 내용/http://cafe.naver.com/solbaram09/523
'기타 활동 > 식물에 관한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앗은 위대하다 (0) | 2012.10.05 |
---|---|
식물의 특성에 따른 분류 (0) | 2012.05.06 |
[펌글] 쥐 잡아먹는 육식식물... (0) | 2012.04.05 |
[스크랩] 「야생동·식물보호법」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2012.1.30.-2.20.) (0) | 2012.03.28 |
[펌글] 국가표준식물목록의 변동내용 (0) | 201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