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자료/숲체험놀이

[스크랩] 나무의 역사, 나의 역사

[2003.04.07 한겨레]나무의 역사, 나의 역사  
나무의 역사, 나의 역사


나이테 검은선 짚어가며
"그 해에 우리 가족사는?"

요즘 아이들은 학원 다니기에 바쁘고, 부모님은 직장 일 때문에 바쁘다는 이유로 온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은 거의 없다. 게다가 어쩌다 여가시간이 생기면 무엇을 해야 가족과 함께 값진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숲으로 가면 여기 저기 나무의 그루터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눈에는 쓸모없이 보이는 그 나무 그루터기도 교육을 위한 좋은 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나무 그루터기 단면에 나타나 있는 나이테는 역사를 말해준다. 나이테를 발견하기 위해서 반드시 숲으로 가지 않아도 된다.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구에서도 나무의 나이테를 발견할 수 있다. 아이와 함께 숲이나 가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나무의 나이테로 가족의 역사 이야기를 해보자.

<준비물>

나이테가 있는 나무, 핀, 자

<놀이하는 방법>

1. 그루터기를 발견하면, 우선 그루터기의 단면을 나이테가 보일 만큼 깨끗이 청소한다.(사진)

2. 나무의 지름을 자로 잰다.

3. 나이테의 검은 선에 핀을 하나씩 꽂는다. 그러면 그 핀의 수가 나무의 나이가 된다.

4. 버섯이 아직 없거나 부패되지 않은 그루터기일 경우, 그 나무는 바로 지난해에 죽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나이테의 선을 따라 역으로 연도를 추정해본다. 제일 마지막 선은 2003년, 그 다음 선은 2002년 순으로 내려간다.

5. 다음과 같은 주제로 아이와 이야기할 수 있다.

△아이가 탄생한 년도의 나이테는 몇 번째 일까 그때 나무는 어느 정도 성장했을까

△엄마, 아빠가 결혼한 연도의 나이테는 몇 번째 일까 그때 나무의 상태는 어땠을까

6. 그 밖에도 나이테가 있는 나무토막을 이용하여 가족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도 좋겠다.

<학부모 노트>

나이테를 관찰해보면 그 간격이 넓은 곳과 좁은 곳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나이테의 간격이 좁다는 것은 그 해에 가뭄이 들었거나, 겨울이 매우 추워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 곤충에 의해 피해를 입거나, 주변에 강한 나무로부터 억압을 받았을 경우 나이테의 간격이 좁아진다.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서로 얘기를 나누어보자.

△나무의 나이는 얼마나 되었을까

△나이테의 간격이 어떤 곳은 왜 좁고, 어떤 곳은 왜 넓을까

△이 나무는 왜 죽었을까

△나무는 어디에 사용될까 (예: 가구, 종이, 건축용, 나무장난감, 땔감 등)

△나무는 우리에게 왜 중요할까 (예: 공기정화,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전환, 소음방지, 홍수방지, 동식물의 먹이와 서식처 제공 등)

남효창/생태교육연구소 ‘숲’ 소장 www.ecoedu.net


출처 : 숲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 신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