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매의 분류 : 체리(핵과), 콩(꼬투리과, 협과), 밤(견과), 귤(감과?), 오이(박과, 벽씨자리), 고추(?), 사과(이과), 단풍나무(시과)
[네이버 지식백과] 진과, 위과 (두산백과)
속씨식물의 열매는 과피가 씨를 싸고 있는 형태인데, 과피는 씨방이 자라서 된 것과 꽃받침, 꽃턱[花托] 등 씨방 이외의 부속 분이 자라서 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 진과(眞果, 참열매, true fruits) : 과피가 씨방이 자라서 된 열매 예) 체리, 콩, 밤, 귤, 오이, 고추, 단풍나무, 토마토..
- 위과(僞果) 또는 가과(假果, 헛열매, false fruits) : 씨방 이외의 부속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예)사과, 양딸기, 연밥..
* 열매의 분류
- 진과vs가과
- 건과vs육질과
- 개과vs폐과
- 단화과(꽃1, 암술1)vs모임과(꽃1, 암술 多)vs다화과(꽃 多, 여러개가 한덩어리)
예) 단풍나무 열매 : 진과, 건과, 폐과, 모임과
#2 화식(floral formula)
- ?, 원추리, 비비추(백합과)
- 꽃범의꼬리(꿀풀과), 무궁화(아욱과), 메꽃(메꽃과)
- 도라지(초롱꽃과), 달맞이꽃(바늘꽃과), 찔레꽃(장미과) 열매
* 앞으로 꽃을 보면..
이제 화식[ floral formula, 花式 / 꽃을 구성하고 있는 꽃받침·꽃잎·수술·암술을 부호 및 숫자로 나타낸 식 ] 을 작성해 보라^^
[네이버 지식백과] 화식 [floral formula, 花式] (두산백과)
꽃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조식으로 기재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속(屬)이나 과(科)등 해당 분류군에 속한 꽃의 대표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사용되는 기호나 체계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꽃받침(악), 꽃잎(화관), 수술(웅성기), 암술(자성기)를 각각 K, C, A, P로 쓰거나 CO, CA, A, G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꽃받침을 K, 꽃잎을 C, 수술을 A, 암술을 P로 나타내면 K3C3A6P③은 백합속·은방울꽃속의 화식이다. 이것은 꽃받침조각 3개, 꽃잎 3개, 수술 6개, 암술 1개로 3심피가 유합하여 씨방상위인 것을 나타낸다.
또 K5C⑤A5P②는 용담속의 화식으로 꽃받침조각 5개로 하부 유합, 꽃잎 5개로 유합, 수술 5개, 암술 1개로 2심피가 유합하여 씨방상위인 것을 나타낸다. 위첨자에 x가 사용될 경우는 '숫자에 변이가 많은 경우'를 의미하며, ∞는 '많음'을 의마한다.
이외에 좌우상칭(左右相稱, 가운데 축을 중심으로 접으면 겹치는 형태의 꽃)은 CoZ로 적기도 하는 등 복잡한 꽃을 표현하는 데는 여러 가지 부호를 더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 방사형 / + 좌우대칭 형태의 꽃
#3 이상태교수님의 열강과 열공하는 학생들... 글구 뒤풀이반^^ (양수샘 경순샘 지.못.미. ㅎㅎ)
퀴즈 : 토끼손의 뒤태는 누구일까요?
[ 이상태교수님의 2차특강 참석자 ]
김옥자, 박양수, 최향순, 정명옥, 김승미, 함희숙, 우창진, 유성자, 이지열, 이종석, 임정아, 임양희, 정충래, 이정란, 박경미, 김태호, 박신영, 김의식, 임경순 (총 19명)
모두들... 더위조심하시고, 행복한 여름나기 하세요.
돌아서면 까먹는 요즘이라 미리미리 후기를 올리고 물러납니다^^
'기타 활동 > 식물에 관한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교실(2008년) (0) | 2015.07.24 |
---|---|
[펌글] 국화과_통상화와 설상화 (0) | 2013.08.27 |
[펌글] 시몬... 너는 아느냐~ 낙엽 떨어지는 순서를... (0) | 2012.10.26 |
씨앗은 위대하다 (0) | 2012.10.05 |
식물의 특성에 따른 분류 (0) | 2012.05.06 |